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94건)

박상(朴祥)의 『눌재선생집(訥齋先生集)』
『訥齋先生集』은 16권 7책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문집이다. 본집에는 먼저 범례와 서문 등이 있고, 권1에 부 3편, 오언고시 16수, 권2에는 칠언고시 18수, 권3~7까지는 근체시 305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또한 속집 권1~3까지는 시 292수, 제문 1편, 권4에는 序 3편, 기 2편, 발 2편, 제문 1편 등이 있으며, 별집에는 부 9
벽진서원, 문화체육관광부 ‘유교지원국고보조사업’ 선정
음성박씨 종친회(회장 박상배)는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유교지원국고보조사업’ 공모에 벽진서원에서 수행하는 ‘유교아카데미 사업’과 ‘청소년 인성교육 사업’ 등 두 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됐다고 밝혔다.‘유교아카데미 사업’은 서원의 문화유산을 활용해 인문학 진흥과 선비정신을 함양함으로써 문화국가에 맞는 가치관을
육봉 박우(1476~1547)
박우朴祐(1476~1547)의 본관은 충주. 자는 창방昌邦, 호는 육봉六峰. 박광리朴光理의 중손으로, 할아버지는 박소朴蘇이고, 아버지는 진사 박지흥朴智興이며, 어머니는 서종하徐宗夏의 딸이다.광주 출신으로 1476(성종7년)년 광주시 서구 절골, 불암마을에서 태어났다. 형은 하촌 박정, 눌재 박상이며 아들은 선조시절에 정승
하촌 박정(1467~1498)
하촌(荷村) 박정(朴禎)은 본관은 충주이고 호는 하촌이며 문간공 박상의 형이다. 성종 을사년 나이 18세에 생원에 합격하여 벼슬이 비록 진사에 그쳤으나 탁월한 도학문장과 정대한 성품은 당대 사림의 지표가 되었다.  눌재 박상과 육봉 박우는 하촌의 학문을 이어 받아 대성하였으며 하촌의 셋째 동생 박우의 아
광유재
남구 행안동 구남마을 광유재(光裕齋) 뒤에는 함양윤씨 입향조 윤지화 묘가 있다. 남촌(南村) 윤지화(尹之和 1476-1558)는 연산군 때 중종반정이후 이곳에서 난을 피해 머물렀다.광유재는 광주광역시 남구 효덕로 224-7(행암동 9번지) 빛고을건강타운 앞 효덕로(孝德路) 북동편 신현산(新峴山) 아래 위치해 있다. 함
현주정 玄州亭
남구 노대동 산 56 (노대마을)   노대마을에는 현주 윤경(尹熲, 1590~1634)이 지었다는 정자가 있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남쪽 10리에 있다. 함안윤씨들은 노대마을과 대동마을에 자작일촌을 이루며 지금도 살고 있다. 남구 행암동 구남마을 광유재光裕齋 뒤에는 함양윤씨 입향조 남촌 윤지화의 묘
월파장서루 月坡藏書樓
광산구 서봉동월파장서루는 화정(花汀) 박원국(朴源國)이 지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노사 기정진이 쓴 기문이 전하고 있어 조선말 서양세력의 침략기에 지어진 정자로 보인다. 《광주읍지》(1879, 1924)에서는 주의 서쪽 36리에 있다. 승정원 일기 고종 14년 정축(1877)  8월 21일에 보면 조선시대에도 불우이웃
연로정 延老亭
박상현은  광산구 진곡동에 1667년(헌종8) 39세 때 연노정(延老亭)을 짓고 우헌(寓軒)이라 자호하고 고요함에 만족하였다. 그는 경전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대학에 밝았으며 주희(朱熹)의 학문을 근본으로 삼았다.   사헌부장령으로 추증됐던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1629~1693)은 본관은 순천(順天).
분수원 分手院 누각
동구 학동 무등산 앞 분수원은 지금의 동구 학동 일대로 보이는 남문 밖에 있었다. 동구 원지교 일대로 오늘날 학동에 속하는 원머리마을은 아주 오래전 분수원 역원이었다. 즉 관리들의 주막이었다. 이곳에는 먼 길을 떠나는 나그네들의 휴식 공간의 물길이 있었고 그 변에 반드시 누각이 있었다.좀 더 동쪽으로 난 길을
백야당 白野堂
광산구 진곡동   《광주읍지》(1879, 1924)에 따르면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정랑 백야당 박광원(朴光元, 1659∼1741)은 광산구 진곡에 살던 우헌 박상현의 둘째아들로 박광일의 아우이자, 박광선의 형이다. 1699년 기묘증광사마시己卯增廣司馬試에 생원 1등으로 합격하여 벼슬이 형조정랑刑曹正郞, 의금부도사義禁府
낙암 樂庵 낙암정
광산구 신룡동 391-12 (신촌마을)《광주읍지》(1924)에서 낙암은 주의 북쪽 40리 거리에 있다고 했다. 신촌마을 뒤 중앙 언덕에 기씨의 재각인 청량재淸凉齋와 함께 낙암정이 있다. 낙암은 고봉 기대승(1527~1572)이 성리학을 강론한 곳으로 1570년에 짓고 그 아래 동편에 수칸數間의 우사寓舍를 지어 찾아오는 학자들을 머
진천사(지) / 眞泉祠(址)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는데 문숙공(文肅公) 박석명(朴錫命), 칠졸재(漆拙齋) 박창우(朴昌禹), 석촌(石村) 박충정(朴忠挺),시암(時庵) 박영림(朴榮林),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금암(黔岩) 박치도(朴致道),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 소은(素隱) 박중회(朴重繪), 담락재(湛樂齋) 민사하(
월봉서원 / 月峯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452(광곡길 133)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조선 전기 기대승을 추모하기 위해 1578년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로 호남정신문화의 산실로 일컫고 있다. 기대승(奇大升), 박상(朴祥), 박순(朴淳),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등 조선 명신들을 배향하고 있다.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
송호영당 / 松湖影堂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송정공원로 74)박상(朴祥) 박순(朴淳)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15인 1728년(영조 4) 창건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계묘(1903)년의 조령(朝令)에 의해 다시 복설(復設)되었다.    -광주읍지(1924)1992~1995년 사당, 담장, 진입계단
사암 박순(1523~1589)
박순은 1523(중종17년)년 서울에서 당시 홍문관 교리였던 아버지 박우와 어머니 당악김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성균관 대사성 박우의 아들이며 눌재 박상의 조카이다. 8세 때 다니던 서당 훈장이 '내가 감히 너의 스승이 될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는 일화가 남아있다.동국삼박의 하나였던 아버지 육봉 역시 차남이 지은 글
회재로
회재로는 전남 나주시 남평읍에서 지석천을 건너 서창방면 좌측 도로에서 바로 시작해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까지 이어진 15.534km 연장의 꽤 긴 도로다. 또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또 하나의 통로이기도 하다.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옛 광이리에서 1번지를 시작하는 회재로를 따라 달리다 보면 먼저 하얗게 무리지어 늘어
방하동(芳河洞), 거기는 꽃다운 강물이 흐르고
방하동(芳河洞), 거기는 꽃다운 강물이 흐르고        오소후 아버지 눈썹 같은 구름을 따라 걸었다 한 계곡을 지나자 난향에 취해 견딜 수 없었다또 한참 후    어머니 젖가슴 같은 둥근 구릉을 지났다 아무리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는 매화향기 거기서, 오래 머물며 주저했다
이종범, “호남의 사림과 향약 오늘에 되새겨야”
"호남의 정신은 실사구시의 사림정신과 향약으로 다져진 올바른 가치관에서 비롯되었습니다.”이종범 한국학호남진흥원장은 13일 조선대 지역인문학센터 주최, 광주 서구문화원 주관으로 서구문화원 강의실에서 가진 ‘도로에 새겨진 호남 사림의 정신: 필문 이선제와 눌재 박상’을 주제로 한 특강에서 이렇게 밝혔다.이 원장
눌재 박상 행장비- 訥齋先生集附錄卷第一
서구 사동길 93(서창동)   訥齋先生行狀[尹衢]      귤정(橘亭) 윤구(尹衢, 1495~?)가 박상이 세상을 떠난 지 1년 후인 1531년 4월에 두 아들 부사공 박민제와 진사공 박민중의 요청으로 쓴 글이다. 윤구는 윤선도(1587~1671)의 증조부이다. 윤구는 1516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지제교, 경연
[앙코르! 향토극단] 창작연극 맥 잇는 부산극단 '시나위'
박상규 대표 "연극 몰입할 수 있는 사회 제도적 환경 필요"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부산 남구 경성대 앞 대학로는 부산지역 '소극장 1번지'로 불린다. 이 일대에만 소극장 10여 곳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지난 4일 오후 극연구집단 '시나위'의 제54회 정기공연 '참 세기'(연출 김동현)가 공연되는 하늘바람 소극장을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